전기 엔지니어 백만장자의 인터뷰 : 62세 은퇴한 전기 엔지니어의 42억 자산 비밀
“은퇴 후에도 자산을 키울 수 있을까?”라는 의문에 대해 명확한 답을 주는 이가 있습니다. 그는 2021년 4월, 36년간의 전기 엔지니어 경력을 마무리하고 은퇴한 62세의 백만장자입니다.
당시 순자산은 280만 달러였지만, 불과 4년 만에 420만 달러로 성장했습니다. 그 사이에 있었던 경제적 굴곡, 실수, 교훈, 그리고 철저한 계획… 모든 것을 이 글에서 낱낱이 공개합니다.
자산 구성과 변화
순자산 변화
- 💰 2021년 은퇴 직후: $2.8M
- 📈 2025년 현재: $4.2M
이 자산 증가는 단순한 시장 수익률 때문만은 아닙니다. 그는 다양한 수익 흐름을 확보하고, 잘못된 투자에서 빠르게 방향을 전환하며 자산을 지켜냈습니다.
자산 구성
- 주식(ETF, 인덱스펀드): 전체의 36%
- 부동산(임대+시행+시너지): 약 30%
- 부채 상품(하드머니 대출, 원금보장 상품): 13%
- 회사 주식: 7%
- 현금 및 기타: 5%
- 금: 소량 보유
특히 주식 대비 현금흐름이 높은 부채 상품에서 전체 투자금의 15%로 총 현금흐름의 37%를 창출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.
수익과 지출: 은퇴 후에도 돈이 돈을 버는 구조
현재 연간 수입
- 💵 수동소득: $120K (약 1억 6천만 원)
수입원
✅ 임대 수익: $25K
✅ 부동산 부채 펀드: 연 수익률 10%
✅ 산업용 부지 및 원자재 투자: 수익률 10~11%
✅ 배당주 및 전직장 주식 배당
✅ 일부 유산 수령: 총 $200K
연간 지출
- 💸 $120K~$130K 수준 유지
- 💰 주요 지출: 자선, 여행, 생활비, 세금(절감 성공)
세금은 수동소득과 손실 공제 전략을 통해 과세소득 거의 0으로 유지 중입니다.
투자 전략과 교훈
성공 전략
- ✅ 지속 가능한 현금흐름 중심 투자
- ✅ 높은 수익률의 하드머니 펀드 집중
- ✅ 고배당주와 원자재 활용
- ✅ 자산 재분배 및 세금 전략 최적화
실패 사례
- ❌ 부동산 시너지(Syndication) 투자 실패
- 이자율 급등으로 손실 발생
- 일부는 전액 손실, 일부는 배당 중단
- 세금처리 복잡해지고 K-1 지연
그럼에도 불구하고
그는 손실 리스크를 고려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, 수익원이 다각화되어 있어 순자산은 여전히 우상향하고 있습니다.
은퇴 후 삶과 조언
삶의 변화
- 🧳 매년 1~2개월 RV 타고 남부지역에서 자원봉사
- 👨👩👧 자녀와 손주, 그리고 “0.5명의 자녀”와 교류 지속
- 🧾 직접 세무 처리 및 가족의 세금도 돕는 중
인사이트와 조언
- 좋은 결정이 항상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는다.
- 믿을 수 있는 사람들과 함께 판단하라.
- 투자는 계획보다 ‘여유’가 더 중요하다.
- 돈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다. 당신의 ‘목적’을 먼저 정하라.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은퇴 후에도 자산을 늘릴 수 있나요?
가능합니다. 철저한 지출 관리, 수동소득 확보, 리스크 관리가 관건입니다.
Q2. 부동산 시너지 투자, 지금도 유효한가요?
아니요. 현재 이자율 환경에서는 리스크가 크며, 오히려 부채 상품이 더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합니다.
Q3. 가장 수익률이 높은 자산은?
하드머니 펀드 등 부채 기반 투자 상품이 현재 연 10% 이상 수익률로 가장 높습니다.
Q4. 주식 비중은 낮춰야 할까요?
장기적 자산 증식에는 유리하지만, 현금흐름 확보가 필요하다면 일부는 배당주 또는 채권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 좋습니다.
Q5. 은퇴 후 가장 큰 걱정거리는?
복잡한 세무 처리입니다. 다중 K-1과 주 정부 신고 문제로 인해 세금 소프트웨어도 전문가용으로 변경했습니다.
이 백만장자의 여정은 단순히 “돈을 벌었다”는 성공담이 아닙니다. 잘못된 투자에서 배우고, 그 실패를 발판 삼아 더 나은 구조를 만든 이야기입니다.
은퇴를 앞두고 있다면, 혹은 은퇴 후의 재정이 걱정된다면, 이 글의 조언은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.
여러분의 재정적 목표는 무엇인가요? 그리고 그것을 위해 오늘 무엇을 하고 계신가요?